2009년 9월 21일에 구매한 보드인데 그동안 사용하지도 않고 한쪽 구석에 쳐박아 놓고 있다가 그저께부터 동작 시켜보았다. 보드에 전원넣고 xilinx에서 제공하는 보드테스트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하여 테스트보드에 이상이 없는지 확인하는 작업 과정과 또한
동작법을 몰라서 사용자 가이드를 열심히 읽었는데 영어의 압박과 더불어 메뉴얼과 약간 다른 사항이 있어 동작 사용법을 적어본다.
먼저, ISE 10.1 버젼을 설치한다. 공짜 버젼인 webpack은 XC2VP30을 지원하지 못하는거 같은데 확실치 않다. 설치할 때 관련툴을 다 설치하면 꽤 오랜 시간이 걸리지만 인내심을 갖고 설치 마무리한다. windows xp sp3와 windows7 64bit 양쪽에서 설치를 했는데 xp에서는 뭣 때문인지 몰라도 project navigator에서는 스키매틱을 그리려고 할 때 창이 잘 안보이고 iMPACT에서는 boundary scan창이 제대로 안 보였다. 다행히 windows 7에서는 아무런 문제가 없었다.
보드에서 스위치 설정 상태는 다음과 같다.
Golden config 와 prom config에 불이 들어 오도록 스위치 SW8, SW9를 설정한다.
장치관리자에서 xilinx 드라이버가 제대로 설치되었는지 확인을 해본다. 프로그램 설치시 이상이 없었다면 장치관리자에 xilinx usb cable라는 드라이버가 보일것이다. 이게 안 보이면 문제가 있으므로 아래와 같이 진행할 수 없다.
windows7에서 시작-> ISE 10.1 -> ISE -> ISE 64bit-> accessories에서 iMPACT를 실행하면 아래에 같은 화면이 나온다.
위 그림과 같이 나오면 그냥 OK를 누른다.
Create New project에 체크하고 OK를 누른다.
Automatically Connect ~~~를 선택하고 Finish를 누른다.
3개의 칩이 보이는데 첫번째 chip과 세번째 chip에만 파일을 다운로드 해줘야 한다. 2번째 칩은 CF 메모리를 이용할 때 사용하는거 같은데 본인은 cf메모리가 없는 관계로 테스트를 못해 봤다. 세번째 chip은 우리가 계속 테스트 해 볼 Main chip으로서 XC2VP30이다.
첫번째 chip 그림 위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눌러서 팝업창에서 Assign new~를 클릭한다.
ISE를 설치할 때 특별히 경로를 바꾸지 않았다면 그림과 같이 C:\Xilinx\10.1\ISE\xcfp\data\에서 xcf32_fs48.bsd를 선택하고
OPen 버튼을 눌러서 빠져 나온다.
두번째 chip은 따로 설정 안 해 줘도 된다. 세번째 chip도 마우스 버튼을 눌러서 한 다음에 동봉된 cd에 있는 파일중에 bist_rev_1_5.bit 파일 선택하고 빠져나온다. 이파일은 V2P_CD\Reference_Designs\edk_7_1_builds\bist_rev_1_5\bist_rev_1_5\bist_rev_1_5\bitstream\ 아래에 존재한다. user guide에는 hw_bist.bit를 선택하라고 하는데 이게 ise 10.1 설치된 곳에 있는줄 알고 ㅡ.ㅡ;
아무튼 hw_bist.bit 파일은 보드 자체를 테스트해 볼수 있는 파일인데 micro controller에서 사용되는 hex 파일이나 windows에서 실행되는 exe같은 존재라고 보면 된다. 뭐 다른 종류의 파일도 가능한데 지금 테스트에서는 *.bit 파일 형식만 사용하면 된다.
전반적으로 보드를 테스트해 볼 수 있는 bist~파일을 확인하고 OK를 누른다.
세번째 chip 그림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누르고 Program을 누르면 bist_rev_1.5bit 파일이 보드에 다운로드된다.
보드가 정상동작이라면 수초내에 완료된다.
보드에 시리얼 케이블이 연결 되었으면 아래에 같은 메시지가 나온다.
통신 속도는 9600 bps에 맞춘다. 만약에 글자가 하나도 안 보이면 SW1 버튼을 1초정도만 살짝 누른다. 너무 오랫동안 버튼을 누르면 테스트 프로그램을 새로 다운로드 해야 된다.
테스트는 2번 웹페이지 테스트와, 5번 sdram테스트만 보이겠다.
본인은 테스트 보드의 이더넷 케이블을 공유기에 다이렉트 케이블로 연결시켜 놓았다. 테스트 보드가 공유기에서 유효한 ip를 받아야 하는데 호스트 pc의 ip와 충돌이 일어나지 않게 설정했다.
위 그림에서 host pc의 IP는 192.168.1.102 니까 테스트 보드 ip는 192.168.1.112정도로 설정하겠다.
ip 192.168.1.112 를 입력한다. 엔터키 누르고 y 를 누르면 이제 web 서버가 동작한다.
인터넷 창에 "http://192.168.1.112:8080" 을 입력하고 엔터키를 누르면 아래과 같은 화면이 나온다.
firefox에서는 웹페이지가 제대로 동작이 안 되었는데 인터넷 익스플로러에서는 동작이 잘 되었다.
SW7에서 dip스위치 조작을 하면 서로 다른 색상의 웹페이지가 뜨는걸 볼 수 있다.
웹 서비스 종료는 X를 입력하고 submit을 누른다.
메모리 테스트는 5번을 입력한다.
보드에서 지원하는 램이랑 본인이 갖고 있는 램이 달라서 위와 같이 테스트중 에러를 냈다.
보드전체 사진
이 보드 판매처 및 관련 자료는 아래 링크에서 찾을 수 있다.
http://www.inipro.net/shop/goods_detail.php?goodsIdx=30
http://www.xilinx.com/univ/xupv2p.html
http://www.digilentinc.com/Products/Detail.cfm?NavPath=2,400,794&Prod=XUPV2P
http://www.fpgadeveloper.com/tutorials
http://www.aclevername.com/articles/linux-xilinx-tutorial/edk101-xup.html
마지막으로 VGA 출력과 스피커 출력을 동영상으로 감상하면서 끝 마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