먼저 보드는  UNO R3 호환 보드이며 블루투스 모듈은  HC-06이다.

테스트 과정에서 잘 안 되어서 블루투스 모듈이 고장난게 아닌가 의심했고 또 어떨때는 수신은 안 되고 송신만 되고 하는 문제가 있었는데 결국은 테스트 방법에 문제가 있었음.




소스코드

/////////////////////////////////////////////////////////////////////////////////////

void setup() {
  Serial.begin(9600);
  pinMode(13, OUTPUT);
}

void loop() {
  if (Serial.available()){
    byte data;
    data = Serial.read();
    if(data=='a'){
      digitalWrite(13, HIGH);   // set the LED on
      //Serial.print("HIGH");
    }
    if(data=='b'){
      digitalWrite(13, LOW);    // set the LED off
     //Serial.print("LOW");
    }
  }
}

//////////////////////////////////////////////////////////////////////////////////////////


위 코드를 복사해서 아두이노 스케치에 붙여놓고 컴파일 한다. 아무런 이상없이 컴파일이 되어야 정상이다.

UNO 보드에는 아무것도 연결 안 하고 단지 USB 케이블만 PC와 연결 한다. 바이너리 파일을 정상적으로 업로드 시킨다. 실패되면  usb 케이블을 뺏다가 다시 연결해서 시도해 본다. 블루투스 모듈을 연결한 상태로 업로드하면 더 안 된다 ㅡ.ㅡ; 정상적으로 파일이 업로드 되면  이제 아래와 같이 UNO 보드와 HC-06 모듈을 연결 한다. 아래 그림은 HC-06 모듈이 아니지만 연결 방식은 같다.




그림과 같이

HC-06의 TX   <--------> UNO보드 RX  

HC-06의 RX   <--------> UNO보드 TX

HC-06의 VCC <--------> UNO 보드 3.3V

HC-06의 GND < -------> UNO 보드 GND  연결한다.



아래는 인터넷에서 구한 사진


RXD 레벨은 5V 이고 TXD 레벨은 3.3V 레벨이라서 조금 이상했는데 생각해보니 5V 레벨 아두이노와

연결하는데는 문제가 없는걸로 판단된다.


HC-Serial-Bluetooth-Products-201104.pdf



전원이 공급되면  HC-06보드의 우측 하단 LED가 끊임없이 깜박이게 된다.  LED가 깜빡이지 않는다면 문제가 있는것이다.


이제 스마트폰의 블루투스 통신을 켜고 테스트를 해보도록 하자.

구글 마켓에 여러 블루투스 통신 어플이 있을텐데  마음에 드는 녀석을 하나 골라서 설치한다.


이제 페어링이라는 과정을 거치고 나서 테스트 해본다.

스마트폰에서 a 문자를 보내면 UNO 보드의 L쪽 LED가 켜지고 b 문자를 보내면 꺼지는걸 볼 수 있다.







HC-06 블루투스 모듈의 이름이나 통신 속도 변경을 해보자.


아래 사이트에서 허큘레스라는 통신 프로그램을 내려 받자.

http://www.hw-group.com/products/hercules/index_en.html


hercules_3-2-5.exe






주의 사항 :  ATmega 328을 제거한 상태에서  HC-06의 RX와 UNO 보드의 RX에 연결하고  TX는 TX에 연결한다.

보드를 위와 같은 상태로 구성하고  USB 커넥터에 케이블을 PC와 연결을 해서 통신 테스트를 해본다.

처음 블루투스 설정은 9600 BPS로 설정 되어 있으므로 Baud란에 9600만 변경하고  Name또한 개인 pc에서

확인한 후 알맞게 설정한 후 나머지 부분은 아래와 같이 설정한 한다.



AT명령을 Send창에 입력 한 후에 Send 버튼을 누르면 화면에 OK라는 응답을 볼 수 있을 것이다. OK응답이 없다면 선연결이 잘 못 되었는지 확인 한다.


통신 속도 변경은 아래와 같은 명령을 입력후 Send버튼 클릭
AT+BAUD4 


- baud rate 

1---------1200

2---------2400

3---------4800

4---------9600

5---------19200

6---------38400

7---------57600

8---------115200



블루투스 이름 변경은 아래와 같은 형식으로

AT+NAMEarduino




/////////////////////////////////// 2013-11-27 임시 확인용 //////////////////////////////////////




주위에 블투 켜진 장치가 있는지 검색을 하면 위와같이  검색이 됩니다.






테스트를 위해 잠시 꺼내서 확인해봤습니다. 보시다시피  블투 모듈의 전원을 연결하기 위해서

아두이노의 3.3v 와 gnd에 2개 선만 연결했고 아두이노에 전원을 공급하려고 usb 케이블 연결했습니다.

블투 모듈에서 계속 빨간불이 깜빡이는건 페어링이 안 되었기 때문입니다.






페어링 후에 블루투스 컨틀롤러라는 앱 설치후 실행시키니까 더이상 블투 모듈의 불이 깜빡이지 않는걸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이때부터 시리얼 통신이 가능한거죠.






HC-Serial-Bluetooth-Products-201104.pdf
0.92MB
hercules_3-2-5.exe
1.26MB




TDS510-usb2.0



위 사진은 2008년도쯤에 중국 구매대행으로 산 TDS510 호환 에뮬레이터인데 개당 10만원 정도 준걸로 기억.


그저께 ezdsp2407a에 연결해서 테스트 하려는데 동작이 제대로 안 되어서 뚜껑을 열어서 사진을 찰칵.

계속 blackhawk usb2.0 이라는 드라이버가 자동으로 잡혀서...그래서 blackhawk 홈페이지에 드라이버좀 주세요 했더니 그냥 무시 당했음 ㅜ.ㅜ

edadiy.cn이라는 드라이버가 설치되어서 예전에 몇번 사용했었는데 ccs3.1에서는 그럭저럭 잘 된거 같았는데 ccs3.3에서는 동작을 못 해본거 같기도....

blackhawk 드라이버로 설정된 상태로 연결 시도를 계속 했더니 겨우 연결되었는데  에뮬레이터칩들이 전부다  따끈따끈 해져서 얼릉 연결 해제를 했다.

정품 tds510 드라이버를 설치해도 드라이버는 설치되는데 뭐가 안 맞는지 원...

tds510.sys 드라이버 파일들이 이름은 비슷하던데 edadily 에서 제공하는 드라이버는 용량이 10k정도로 매우 작았음.





XDS510-usb





이것도 위의 tds510 짝퉁이랑 같이 구매했던 것인데  사고나서 한번도 사용을 못 해보고 사망했던 비운의 xds510 짝퉁 에뮬레이터이다. 

연결 하는 방법이 tds510 저녀석은 그냥 잘 된거 같았는데 이건 왜 그리 안 되던지...

너무 화가나서 jtag 핀을 반대방향으로 연결했더니 싱크웍스에서 판매되는 2808 dsp 보드와 함께 동반 자살을 ... 나중에 2808 이보드는 칩을 새로 교체해서 살렸지만.

usb 커넥터에 연결하면 알수없는 장치라고만 뜨고 더이상 드라이버 설치를 요구를 하지 않는다. CY7C68013A  이라는 칩이 사망을 했는지 아니면 저기 위의 ic들이 다 같이 죽었는지는 확인 못 했으나

저거 하나만 죽었기를 바라는 마음에 언젠가 이칩만 교체를 해서 부활되나  안 되나 실험해봐야겠다.


교훈: 안 된다고 커넥터 핀을 맘대로 연결하면 에뮬레이터 뿐만 아니라 dsp 보드까지 동반 자살 시키는 아주 무시무시한 결과가 발생하는걸 몸으로 뻐져리 느꼈다. 아래 정품 xds510 커넥터에는 잘못된 연결을 방지하기 위해서 커넉터에 안 쓰는 구멍을 막아논 안전장치가 되어있다.





XDS510PP


이 녀석은 패러렐 포트에 연결해서 사용해서 그런지 매우 뚱뚱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중고로 사서 아직까지 제일 멀쩡하게 동작하고 있다.

이거랑 몇몇 툴이 패러렐 포트를 사용하고 있기에 아직도 노트북과 데스크탑 컴퓨터에는 패러렐 포트가 달린거 사용하고 있다.







http://bricxcc.sourceforge.net/  이사이트에 접속하면 레고 마인드스톰을 가지고 놀 수 있는 모든 자료들이 다 구비되어 있다.

영어를 조금 알면 혼자서 쉽게 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아래부터는 영어가 조금 부담스러운 분들을 위해서 최대한 쉽게 설치하는 방법을 적어 보도록 하겠다.


마인드스톰을 가지고 놀기 위해서 필요한 파일은 총 3가지다. 먼저 마인드스톰을 프로그래밍하기 위한 컴파일러인 BricxCC와  두번째로 마인드 스톰을 pc에서 인식 시키기 위한 USB 드라이버 그리고 마지막으로 마인드스톰 최신 펌웨어이다.  최신 펌웨어는 반드시 필요하지는 않으나 bricxcc와 버젼이 안 맞을 경우 다른 동작이나 명령을 인식 못할 수 도 있기 때문이다. #8527 버젼에서  #8547버젼으로 업그레이드 되면서 컬러 센서 기능이 추가 된거 말고는 잘 모르겠으니 8527 버젼 마인드스톰을 가지고 있으면 굳이 최신 펌웨어로 업데이트 안 해도 무방하다.


Downloading 에서 BricxCC latest version을 클릭해서 컴파일러를 다운 받는다. http://sourceforge.net/projects/bricxcc/files/bricxcc/

에서 현재는 최신 버젼이 bricxcc 3.3.8.8 이다.



bricxcc_setup_3388.exe 이 파일을 실행시키면 위 그림과 같이 나온다.

별 다른건 없다. 이 프로그램이 저작권 보호를 받는거라서 함부로 재배포 하지 말라는거다.

무시하고 Next 버튼을 누른다.





bricxcc_setup_3388.exe 이녀석이 소스코드가 공개된 것이여서 Mozilla 어쩌고 라이센스 나오는데

그냥 Yes 누르고 다음으로 넘어간다.





여기에 아무렇게나 입력하고 Next로 넘어간다.





C 드라이브  용량이 부족하지 않다면 그냥 Next를 누른다.





여기서도 Typical을 선택하고 next를 누르자 ㅡ.ㅡ;





이름 바꾸지 말고 그냥 next 누르고 넘어간다.





이제 최종적으로 설정 상태를 확인하고 Next 눌러서 설치를 시작한다. 설치시간은 오래 걸리지 않는다.


설치가 완료되면 팔을 들고 있는 로보트 모양의 아이콘이 생성된다.


요녀석을 지금 당장 실행 시켜보고 싶겠지만 조금 참고 usb 드라이버를 설치하자. 홈페이지에 있는 파일을 내려 받아서 설치해도 되나

MINDSTORMS Update 에서 최신꺼로 usb 드라이버를 다운 받도록 한다. 드라이버는 windows xp와 windows7 64bit 까지 지원된다.












바야흐로 1989년 내가 국민학교 6학년 때 4석 라디오를 만드는데 실패하고 좀 더 쉬운걸로 해봐야지 하고서 산게  아래에 보이는 차임벨 녀석이다. 이것도 그때 당시에 동작이 안 되어서 나중에 좀 더 커서 어른이 되면 꼭 동작 시켜봐야지 해서 지금까지 간직 하고 있었던 것이다.

어제 모처럼 큰 마음 먹고 기판상에 보이는 회로도를 손으로 슥삭슥삭 그린 다음에 pspice에 시뮬레이션으로 돌려보려고 회로도까지 그리고 트렌지스터 관련 데이터 쉬트도 찾아보았다. 납땜을 잘 못 했을 경우를 대비해서.

좀 오래된 부품이라 그런지 인터넷에서 데이터 쉬트가 잘 안 보였는데 icxxx에서 우연찮게 찾았다.

테스터기로 TR 핀 번호 찾기도 했는데 다행히 데이터 쉬트랑 차이가 없었다. 최종적으로 확인 결과 납땜은 전혀 이상 없었고 그동안 사용한 9V 밧데리 불량인거 같았다. 파워 서플라이에서 9V 입력하고 사진에 보이는 BSW 전선을 연결 하니까 종달새 소리는 아니지만 스피커에서 찌르르르륵 소리가 흘러 나왔다.

인터넷에 다른 차임벨들은 성능이 좋아서 그런지 인덕터랑 ic소자도 사용되었는데 이건 순수하게 콘덴서, 저항, 트렌지스터로만 동작하는 회로여서 다른 차임벨 회로도 보다 제일 단순한 형태 같다.




이건 시뮬레이션 결과인데 아무래도 잘 못 시뮬레이션 시킨거 같다. 전압이 무슨 pV야 ㅜ.ㅜ

chaim-dat.pdf

이건 pspice 돌리려고 그린건데 pcb처럼 선을 죽죽 그어서 최적화된 회로도는 아니다. 그리고 콘덴서 극성 있는건데 그냥 패스 ㅡ.ㅡ;

SCHEMATIC1 - PAGE1.pdf



아래는  성공을 자축하는 의미에서 동영상을 첨부함.








chaim-dat.pdf
0.0MB
SCHEMATIC1 - PAGE1.pdf
0.03MB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