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년 6월쯤에 마이크로칩코리아에서 모터과정을 배우고 수업과정에 사용된 모터를 며칠뒤에 똑같은것으로 구매를 했다. 왜냐하면 가격이 싼 다른 모터를 샀다가 제대로 동작 못 시키고 고장낼까봐 ㅡ.ㅡ; 다행히 오늘 모터를 보드에 연결하고 소스코드를 컴파일하고 보드에 다운로드하니까 정상 동작까지 확인했다.
아직 내 마음대로 모터를 제어하지 못 하지만 BLDC 모터와 보드간에 결선을 어떻게 하는지 알아보고 모터 제어 방법에 따라서 모터가 어떻게 구동되는지 동영상 촬영을 하였으니 참고하기 바란다.
아래 사진은 microchipkorea에서 모터 class에서 교육을 받고 제공받은 테스트 보드이다. 따로 microchip 웹상에서 구매도 가능하다. 근데 그냥 사면 좀 비싸다.
색상이 똑같은 것들이 보이는데 하나는 홀센서용이고 하나는 모터 전원 공급용이다.
왼쪽 5가닥이 홀 센서, 오른쪽 4가닥이 모터 구동, + - 이건 연결 안 해도 된다.
사용된 모터는 제조처 번호 DMB0224C1002인데 제조사 홈페이지에 확인하면 현재는 다른 이름(DMA0002024B1010)으로 변경되었다.
제조사가 HURST 라고 되어있다.전선이 복잡하게 주렁주렁 달렸는데 오늘 사용될 것은 왼쪽 하단에 5가닥, 오른쪽 상단 4가닥이다. 오른쪽 하단 8가닥 케이블은 엔코더용이라고 되어있는데 오늘 테스트에서는 사용되지 않는다.
보드랑 모터를 처음 연결할 때 잘 못 연결해서 다 태워 먹을까봐 확인에 확인을 거쳤는데 위 자료는 제조사에서 내려 받은 자료가 아니라 어떤 사이트에서 받은 자료인데 샘플 데이터 쉬트중에서 캡쳐했다.
보드에 pickit3도 연결하고 전원도 연결한 상태인데 전원은 24V 2.9A 출력 어댑터와 물려있다. 어댑터가 없으면 BP1, BP2단자에 power supply에서 보드로 직접 연결도 가능하다.
보드에 이상이 없고 전원 어댑터에 이상이 없으면 LED가 밝게 빛이난다.
MPLAB을 구동 시키고 나서 pickit3와 보드가 제대로 연결이 되었다고 표시가 되었다. dsPICDEM 보드에 사용된 chip이 dsPIC33FJ32MC204라고 정확하게
표시 되었다.
PICKIT3는 원래 J12 자리에 연결하면 되는데 오늘 사진 촬영하는데 방해가 되어서 위치를 옮겨 RJ11잭에 케이블로 연결했다. 검은색 TACT 스위치가 3개 보이는데
하나는 리셋용이고 다른 하나는 모터를 구동 시킬때 사용한다. 나머지 한개는 알아서 ㅎㅎ; 노란색 가변 저항은 모터의 속도를 조절하는데 사용되었다.
이 보드는 RS232, USB, CAN, LIN통신을 테스트할 수 있도록 되어있는데 이건 차후에 테스트를 해 봐야겠다.
아래는 모터 구동을 동영상 촬영한것들이다. 순서대로 LAB2, LAB3, LAB4, LAB5 순서이다. 각 lab마다 모터를 제어하는 방식이 다르다. 소스코드는 마이크로칩코리아에서 제공하는 것들이다.
LAB2 소스코드로 모터를 처음 구동 시킬때 모터가 약간 심하게 움직이면서 구동된다. 그리고 모터에서 열도 많이 난다. 원래 코드에 사용된것과 내가 산 모터가 스펙이 달라서 그런지는 잘 모르겠다.
LAB3 소스코드로 모터를 구동하면 모터에 열은 거의 나지 않으나 모터의 진동은 역시나 크다. 아직 속도 조절은 안 된다.
LAB4 소스코드로 모터를 구동 시키면 모터에 열도 거의 안 나고 모터의 진동도 거의 없다. 안정적이다. 속도 조절이 잘 된다.
마지막으로 LAB5 소스코드로 모터를 제어한것인데 열, 소음, 속도 제어등 잘 되는것 같다.
원래는 LAB6 코드도 있는데 이건 보드의 FET 소자에서 열이 엄청나게 나서 테스트를 하다가 말았다. 본인 상당히 소심한듯 ㅡ.ㅡ;
차후에 can, lin통신쪽도 테스트해서 결과를 보이도록 하겠다.
사용된 소스코드 :
BLDC 모터 샘플 데이터 쉬트:
더 많은 자료는 아래 사이트에서....
http://www.microchipkorea.co.kr/
이상으로 dsPICDEM 보드 간단 구동 테스트를 마치겠다.